[개요] 이 지표는 가격변동성의 시간적 변화(Volatility Change)를 나타내는 지표이다. 가격변동성을 판단할 때 주가가 높으면 그 만큼 변동성이 큰 것이 일반적이며 반대로 주가가 낮으면 가격변동성이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. 따라서 볼린저밴드의 가격대폭(상단밴드 - 하단밴드)을 추세를 의미하는 가격대 중심선 으로 나누어 주가수준에 따라 수정한 변동성을 측정한다. [해석] BWI의 값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은 볼린저밴드의 가격대 폭이 상당폭 축소된 것이며 따라서 앞으로 추세변화의 가능성이 크다고 해석한다 예를 들어 미국 주식시장의 S&P500의 경우에는 BWI가 2 이하로 하락하면 보통 앞으로 추세변화가 있을 것으로 해석한다. 한국 종합지수의 경우에는 대체로 0.04 이하로 하락하면 추세의 변화를 예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. 그러나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BWI는 미래의 추세적 변동의 가능성을 시사할 뿐이며 추세의 방향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. 즉 BWI는 추세변동 가능성의 정도만을 파악하는 지표임을 알아야 한다. |
#주식 #보조지표 #변동성지표 #주린이 #초보 #용어
'주식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추제지표] On Balance Price (0) | 2020.07.21 |
---|---|
[변동성지표] Sigma (0) | 2020.07.20 |
[기초용어] Average True Range (0) | 2020.07.18 |
[추세지표] Pivot (0) | 2020.07.17 |
[추세지표] Pivot분봉 (0) | 2020.07.16 |